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심층 조사
한국 정부 조사단이 5월 22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점검과 관련한 현지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1986년 4월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최악의 원전 사고로 꼽히는 대재앙적인 원전 폭발 사고가 발생한 지 12년 만입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사고로 인한 문제점과 잠재적 해결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이해
후쿠시마 원전 폭발은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원전의 원자로 내부에서 '멜트다운'으로 알려진 노심용융이 발생하면서 일어났습니다. 3월 12일부터 15일까지 이 발전소에서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목격되지 않았던 수소 폭발이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이 대규모 재해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국제원자력사건규모(INES)에서 최고 수준인 레벨 7(중대사고)로 기록되었습니다.
방출된 방사성 물질 평가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사고 당시 대기 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양을 약 90만 테라베크렐(TBq)로 추정했습니다. 이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지금도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물이 계속 생산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정화에 대한 일본의 자신감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오염수 정화를 위해 고도 액체 처리 시스템(ALPS)을 사용하며 '후쿠시마 정화'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한 일본대사관은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는 빗물, 해수, 수돗물, 인체, 자연 등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약한 방사성 물질로 ALPS에서 걸러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논란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한 각계의 반대에 부딪혔으며, 이재명 대표는 일본이 '안전한' 물을 식수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반발이 한국 조사단의 행보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후쿠시마 원전 폭발의 여파
후쿠시마 원전 폭발은 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 여파로 냉각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발생한 용융 사고로 인해 촉발되었습니다. 폭발이 일어나기 전 원자로 1, 3, 4호기는 냉각수 부족으로 1200°C까지 가열되었습니다. 방사성 물질 방출로 인해 약 15만 명이 대피했습니다.
방사능 오염 문제
일본은 방사능 오염 물질 제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대피 구역의 규모를 점차 축소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간 방사선 피폭량이 50밀리시버트(mSv)를 초과하는 지역은 약 300제곱킬로미터입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내에서는 지금도 매일 약 140톤의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알프스 처리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려는 일본의 계획
일본 정부는 오염수 저장에 따른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올 여름부터 이 물을 더 희석해 바다에 방류할 계획입니다. 일본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증을 받은 후 최소 30년에 걸쳐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입니다.
일본 측은 후쿠시마 오염수의 안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자신감을 표명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는 특히 한국에서 회의론과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한국 사찰단의 후쿠시마 원전 방문 첫 공식 활동은 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독립적인 검증과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알리며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